본문 바로가기
책속으로 떠나는 여행

미디어 빅뱅, 한국이 바뀐다

by 코발트_블루 2005. 9. 21.


미디어 빅뱅, 한국이 바뀐다
김택환, 이상복 지음|박영률출판사
종이책 : 10,000원 → 최저가 9,000원(-10%, 북랭크)판매 7곳 가격비교
eBook : 4,000원(북토피아)
2005.03.30 | 170쪽 | ISBN : 8958870044
평점(1건) 6.00/10

관련분류
언론/미디어/광고 > 언론학/미디어 > 언론/미디어 이야기

책소개

지식정보 사회에서 미디어는 부와 권력의 생산기지다.

최근 미디어 산업 전반에 불고 있는 디지털 기술 혁명은 미디어 지형을 다시 그리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 변화는 ‘빅뱅’이라 부를 만큼 거세고 강하다.

언제 어디서든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과 인터넷 방송(IP-TV) 등 뉴미디어가 올해 모습을 드러냈거나 드러낼 예정이다.

그러나 이는 미디어 산업 내에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많은 학자들은 미디어 빅뱅이 금속활자 발명이 중세를 무너뜨린 것 이상의 문명사적 전환을 가져올 것으로 믿고 있다. 미디어는 세상을 보는 창이며, 이미 수동적인 매스미디어에서 개인미디어로의 이행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우린 점차 미디어 없이는 생활할 수 없는 세상으로 가고 있다.

미디어는 개인은 물론 시민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바꿔놓고 있다.

또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여론을 주도해야 정권을 잡을 수 있기도 하다.

많은 전문가들이 21세기를 ‘미디어 시대 ’로 규정하는 이유다. 미국에서는 이제 미디어 영역이 항공 산업과 더불어 국가 최고 산업으로 성장했다. 어디 이 뿐인가.

미디어는 시대 유행과 문화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마이크로 소프트의 빌 게이츠 회장은 ‘제2의 IT(정보 기술) 붐’을 예고한다. 세계 미디어 빅뱅의 진원지가 바로 한국이라는 것이다.

신문과 방송 등 기존 미디어의 출현에는 뒤졌지만 모바일, 포털사이트 등 뉴미디어에선 한국이 세계를 선도한다는 예측이다.

이렇게 급변하고 복잡한 미디어 세상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이와 관련, 한국 미디어 세상의 변화 트렌드를 낱낱이 해부하고 짚어낸 책이 발간돼 화제다.

필자는 중앙일보 미디어 전문기자인 김택환 언론학 박사와 문화부 미디어 담당인 이상복 기자.

이 책은 미디어 빅뱅을 이끌고 있는 새로운 기술과 뉴미디어의 출현 뿐 아니라 이들이 신문과 방송 등 기존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을 광범위하게 분석했다.

전통 매체인 신문·잡지·출판에서 지상파 방송·케이블·위성방송을 거쳐 인터넷·통신·영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장르의 미디어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이 가장 주목하는 대목은 ‘미디어 트렌드’ 분석이다.

한 예로 미디어 간 융합과 함께 무료화 현상 등을 꼼꼼히 짚어냈다.

무료신문, 인터넷, 스카이페(무료 전화) 등이 대표적인 예다.

보다 많은 독자나 소비자를 확보하기 위해 콘텐트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비즈니스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많은 미디어 기업들이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절체절명의 생존 상황을 맞고 있다.

특히 광고 파이는 줄어들고, 미디어는 늘어나고,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 시간은 한정돼 있어 동종 및 이종 미디어 간 대전쟁이 불가피하다는 것도 흥미로운 시각이다.

물론 책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미디어 사업의 성공과 실패 사례도 설명했다.

저자는 미디어 영역에 근무하는 모든 종사자들에게 일독을 권유한다. 또한 일반시민, 학자와 학생, 그리고 대통령을 포함해 미디어정책 관련자에게도 읽기를 기대하고 있다.

미디어 시대 많은 국민들이 이 책의 독자가 되도록 ‘스타벅스 커피 2잔 값’으로 싸게 제공하고 있는 것도 이채롭다. 민주주의 발전과 국가 경쟁력 제고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인터파크 제공]

지은이 소개
김택환
김택환한국에서 미디어 전문기자 제1호다. 언론학 박사를 취득한 후 경력 기자로 중앙일보에 입사했다. 편집국 발전방안과 사대 대학 등을 연구.개발하는 기획위원을 동시에 맡고 있다. 한국신문상을 수상했다. 한국언론연구원의 책임연구위원으로서 연구 분야를 총괄하는 연구팀장을 담당했다. 미국 조지 타운대 방문교수와 중앙대학교 언론대학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고, 독일 본대학에서 언론학, 정치학, 사회학을 수학하면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독일 카셀대 박사 후 과정을 거쳤다. 이상복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해 사회부.기획취재팀 등을 거쳤다. 2001년부터 문화부에서 방송과 미디어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기자상
[북랭크 제공]

목차
프롤로그: 미디어 대전쟁 시작되다
서론: 미디어 시대를 열며

‘미디어 빅뱅’ 시작되다

002_ 미디어 세상은 어디로 가는가
006_ 미디어 빅뱅을 이끄는 기술들
008_ 새로운 미디어의 생성과 변형
010_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잡아라
012_ 뭉쳐야 사는 비즈니스 모델
016_ 새로운 수익구조를 창출하라
018_ 미디어가 권력과 부의 생산기지
021_ 미디어 대전쟁의 무기와 목표
무기 하나 - 콘텐트 / 무기 둘 - 소비자 확보
무기 셋 - 광고쟁탈전 / 공정한 경쟁터로 / 세계시장을 향해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과 비즈니스

027_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시대 개막
030_ 방송과 통신의 결혼 인터넷TV(IP-TV)
032_ 디지털멀티미디어센터(DMC)의 트리플(Tripple) 서비스
033_ 인터넷, 미디어계의 강자로
포털사이트의 위력 / 인터넷 신문, 종이 신문 앞지를까 / 막 오른 개인 인터넷 방송 시대 / 블로그 광장 / 전자출판의 미래

045_ 통신의 스마트 폰 시대로



지상파 방송, 쇠퇴와 변신의 길목에서

047_ 쇠퇴와 변신의 갈림길
049_ 창의성이 없는 지상파 방송
051_ 이종매체와의 치열한 경쟁 속으로
052_ 지상파 방송의 활로는 수출
054_ 선진국의 지상파 방송 전략은
세계 공영방송은 효율성?독립성 개혁 중
민영방송은 복합 경영의 기수로

057_ 생태적 편성전략과 차별화 트렌드
059_ 외부 미디어 동업자와 연대해야
060_ 르네상스를 맞는 라디오의 시대

외화내빈(外華內貧)에서 성장하는 케이블 방송

062_ 힘겨운 10년 케이블 TV
064_ 아직 영세한 케이블 방송 사업 현주소
065_ 무한경쟁의 시대를 맞는 케이블 방송
066_ 규제완화가 케이블 방송 업계를 살린다
067_ 디지털화, 재앙인가 희망인가
069_ 그래도 희망은 있다? 차별화와 질적 승부로

기우는 위성방송, 그래도 희망은

072_ 잘못 끼운 단추로 위성방송 개국
074_ 위성방송 발목 잡은 지상파 재송신
075_ 위성방송이 개척한 신규 서비스들
076_ 생존해법은 방송통신 융합경영

기로에 선 통신산업, 토털커뮤니케이션으로

080_ 통신의 승부처, 인터넷 사업
082_ 모바일이 새로운 탈출구로
083_ 미디어 사업과의 융합과 연합
085_ 통신에서 토털커뮤니케이션 경쟁 정책으로

신문의 위기, 지적 능력의 종말인가

089_ 끝없이 추락하는 신문 구독률
090_ 위기의 1차 원인은 내부에
신뢰의 위기가 위기의 핵심 /
콘텐트의 위기도 / 과당 경쟁은 더욱 위기로 몰고

093_ 외부에서 신문에 주는 충격
신문 때리기 / 이종 매체와의 경쟁 악화

094_ 신문의 질 경영이 없다
095_ 공정한 룰과 경쟁 정책으로
096_ 해외 신문의 생존법은
098_ 한국 신문 생존방안은, 원 소스-멀티 유스와 질적 차별화
099_ 미래에도 신문은 지식정보 ‘과외선생님’
102_ 새로운 통제인가 개혁인가: 신문법과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법
주요 내용과 논란 / 신문시장에 올 변화는
선진국들의 신문규제는

위기의 잡지출판, ‘어젠다 세팅’ 역할로

108_ 미디어 빅뱅, 잡지의 위기
109_ 흔들리는 지식정보 기반
111_ 디지털 출판의 방향은
112_ 출판의 미래는 ‘마인드 전환’에서


르네상스 맞고 있는 영화 영상

114_ 끊임없는 변화로 생존에 도전
115_ 영화와 미디어 융합
116_ 거대공룡 할리우드의 야망
118_ 한국영화의 힘은
120_ 새로운 소재를 찾아 세계로
121_ 인터넷 영화의 등장과 전망
123_ 한국영화의 미래
124_ 한류(韓流), 일시적 유행인가 질적 우월성인가

미디어의 미래와 정책

129_ 변증법적 발전: 융합과 분화
130_ 미디어 환경이 뉴 패러다임으로
132_ 미디어 이용 관행을 잡아라
134_ 콘텐트, 기술, 시장이 승부처
135_ 선진 외국의 새로운 미디어 정책 기조는
138_ 한국의 미디어 정책, 지금 몇 시인가
미디어 정책, 어디로 가야 하나
규제기관 정비 시급-통폐합과 효율화로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143_ 미디어 사업의 성공과 실패
미디어 정책의 명과 암
미디어 영역별 성공 사례와 그 힘은
잘못한 선택은

149_ 미디어 시대의 위험과 과제
[예스24 제공]

댓글